top of page
arxiv.png
Optical property analysis

Fluorescent Organic Glass with Unique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dv. Funct. Mater., 28 (39), 1081394 (2018)

Kahoe Ku, Joonyoung F. Joung, Heeyeon Park, Myeong-Geun Kim, Sungnam Park, Woong Kim*

이 연구에서는 분자 전자 소자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분자–전극 계면의 결함이 charge tunneling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자가조립 단분자층(self-assembled monolayers, SAMs)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조절하여 분석하였다. Bipyridyl기를 갖는 rectifier 분자(SC11BIPY)를 다양한 길이의 n-alkanethiol(SCn, n=8–18)과 혼합하여 SAM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방울(wettability)과 EGaIn 접촉(junction)이라는 두 가지 다른 조건에서 계면 특성을 비교하였다. 짧은 SCn을 사용할수록 SC11BIPY와의 길이 차이로 인해 SAM 내에 나노스케일의 pit과 gauche 결함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접촉각과 터널링 전류의 비대칭성이 크게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특히 물과 EGaIn의 접촉 특성 차이—전자는 hydrostatic pressure, 후자는 user-applied pressure—로 인해 같은 SAM이라도 서로 다른 계면 반응성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SAM-전극 계면의 구조적 불균일성이 전기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리해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면적 분자 접합에서의 계면 결함 분석을 위한 정교한 희석 전략을 제시하며, mixed SAM 기반 유기 전자 소자의 계면 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20180926_Fluorescent Organic Glass with Unique

02707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02707

Office: +82-2-910-4731

© 2025 Powered and secured by Wix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