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rxiv.png
Optical property analysis

Covalently Linked, Perylene diimide Polydiacetylene Nanofibers Display Enhanced Stability and Photocurrent with Reversible FRET Phenomenon

Small, 15 (19), 1901342 (2019)

Joonsik Seo, Chra Kantha, Joonyoung F. Joung, Sungnam Park, Raz Jelinek, Jong-Man Kim*

이 연구에서는 perylene diimide(PDI) 염료와 polymerizable diacetylene(DA) 그룹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한 단량체 PDI–BisDA를 설계하고, 이를 자가조립 후 UV 조사하여 안정한 PDI–polydiacetylene(PDA) 나노섬유(PDI–PDA)를 제작하였다. 기존 PDI 기반 나노구조는 π–π stacking과 수소결합 등 비공유결합 상호작용에 의존하여 용매에 쉽게 붕괴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연구의 PDI–PDA는 공유결합 기반의 PDA backbone 형성으로 인해 뛰어난 구조적 안정성과 용매 저항성을 확보하였다. 형광 분석 결과, 형성된 PDI–PDA는 blue-phase PDA에 의한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FRET)로 인해 PDI의 emission이 꺼지며, heating을 통해 red-phase PDA로 전환되면 형광이 다시 살아나는 reversible FRET 현상을 보였다. 또한 PDA의 conjugated π-network 형성으로 인해 photocurrent가 향상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처럼 PDI와 PDA를 공유결합으로 통합한 본 시스템은 우수한 열안정성, 광응답성, 전기전도성을 모두 갖춘 유기 전자소자 및 광센서 응용에 유망한 구조 플랫폼을 제시한다.

20190510_Covalently Linked, Perylene diimide Polydiacetylene

02707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02707

Office: +82-2-910-4731

© 2025 Powered and secured by Wix

bottom of page